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백준
- option태그
- optgroup태그
- html총정리
- list태그
- 프론트엔드
- border-width
- list관련태그
- 블록태그
- css기초개념
- collections.deque
- 인라인태그
- li태그
- 인라인스타일시트
- 백준18258번
- 웹개발기초
- CSS기초
- fieldset태그
- CSS
- input태그
- text-height
- html
- 열린태그
- 빈태그
- 텍스트관련스타일
- legend태그
- 큐
- 닫힌태그
- html문제
- 웹개발
- Today
- Total
목록코딩테스트를 준비하며 (2)
션냥의 개발일지

📌 들어가며백준 2164번 - 카드2 문제는 다음과 같은 간단한 규칙의 큐 문제이다:1번부터 N번까지의 카드가 순서대로 놓여 있고,제일 위 카드를 버리고, 그다음 카드를 다시 맨 아래로 보냅니다.이 과정을 반복해 카드가 한 장 남을 때, 그 카드를 출력하는 문제. 처음에는 단순하게 list를 이용해서 구현할 수 있을 것처럼 보이지만,그렇게 구현한다면 시간 초과 혹은 런타임 에러를 경험한다.그 이유에 대해 정리해보려 한다.🔍 문제 핵심: 리스트로 큐를 구현할 때 생기는 시간 복잡도 문제파이썬에서 큐를 리스트로 구현할 경우, 다음과 같은 방식이 일반적이다:queue = []queue.append(1) # 큐에 원소 추가 (enqueue)queue.pop(0) # 큐에서 원소 ..

코딩테스트를 준비하면서 가장 자주 접하게 되는 자료구조 중 하나가 바로 "스택, 큐, 그리고 덱(Deque)"입니다. 처음엔 이름부터 낯설고 비슷비슷하게 생겨서 헷갈리기 쉬운데,각 구조마다 데이터를 다루는 방식이 뚜렷하게 다릅니다. 이번 글에서는 스택, 큐, 덱의 개념과 차이를직관적인 비유와 함께 파이썬 코드 예제로 정리해봤어요. 자료구조의 기본을 다시 다지고 싶은 분이나,코딩테스트 전 빠르게 정리하고 싶은 분께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 📦 스택(Stack)"쌓는 구조"📚 책을 위로 쌓는 것처럼, 마지막에 넣은 게 가장 먼저 나오는 구조✅ 개념: LIFO (Last In, First Out) → 나중에 들어온 데이터가 먼저 나감✅ 주요 메서드:push(): 데이터를 넣는다pop(): 데이터를 꺼낸다 ..